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대구

팔공산 파계사

* 영조의 출생 설화가 전해지는 사찰, 파계사 *
804년(애장왕 5) 심지(心地)가 창건하고, 1605년(선조 38) 계관(戒寬)이 중창하였으며, 1695년(숙종 21) 현응(玄應)이 삼창하였다. 이 절에는 영조(英祖)의 출생과 관계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숙종의 부탁을 받은 현응은 농산(聾山)과 함께 백일기도를 하였고, 기도가 끝나는 날 농산이 숙빈(淑嬪) 최씨에게 현몽하였으며, 이렇게 태어난 아들이 후일의 영조였다는 것이다. 숙종은 이에 대한 보답으로 파계사 주변 40리 이내의 조세(租稅)를 받아 쓰라고 하였으나 현응은 이를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를 막으려는 것이었다.
1979년 관음보살상을 개금할 때 불상에서 나온 영조의 어의(御衣)는 이 설화의 신빙성을 더해 주는 것이었다. 이곳은 동화사와 더불어 대구 지방의 유명한 풍치지구이며,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산인 동화사의 말사로서 불상, 석등, 석불, 영조대왕의 어의가 보관되어 있다. 영산회상도는 구도나 형식에서 특색을 갖추고 있고 필법과 채색 또한 품격을 지닌 뛰어난 작품으로 18세기초를 대표하는 불화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 파계사의 주요문화재 *
현존 당우로 2층누각인 진동루(鎭洞樓), 법당인 원통전(圓通殿), 적묵당(寂默堂) 등이 있고, 부속암자로 현니암(玄尼庵) ·성전암(聖殿庵) ·금당암(金堂庵) 등이 있는데, 성전암은 경북 3대 도량 중의 하나이다. 문화재로 보물 제1214호 파계사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있다.

원통전(지방문화재 제7호), 원통전목조관음보살좌상(보물 제992호) 영산회상도(후불탱화 보물 제1214호)
민속문화재(시지정) : 설선당, 산령각, 적묵당, 진동루, 기영각

 

 [진동루]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1984.07.25 지정)
파계사 원통전 앞에 있는 누각으로 1715년(숙종 41)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이곳은 원래 물의 줄기가 아홉갈래고 흩어져 있다하여 물길을 다시 모은다는 의미로 파계사라 이름하였다 하며,

진동루는 파계라는 이름만으로는 이 곳의 기를 제압할 수 없어 기를 진압한다는 의미로 이름하였다 한다.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2층으로 가공하지 않은 방형의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아래층 어칸을 통로로 하고 측간의 뒷부분을 창고로 사용하고 있으며, 2층에는 통간 우물마루를 했다.

건물의 규모에 비해 부재가 다소 약한 감이 있다. 천장은 연등천장이며,

문은 모두 미닫이 유리문을 달아 어색한 면이 있으나 익공 등에서 볼 때

조선시대 중·후기 양식에 어울리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원통전]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1984.07.25 지정)
원통전은 일반적으로 관음전(觀音殿)이라고 하며, 관세음보살(觀世音普薩)을 주불로 봉안하는 불전을 말한다.

파계사는 중심전각인 원통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설선당, 적묵당 그리고 앞에는 진동루 등이 위치하여

 전체적으로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05년(선조 38) 계관법사가 중건하고,

1695년(숙종 21)에 현응조사때 삼창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건축양식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가구식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놓은 후 둥근기둥을 올리고 있다.

 

법당 내부의 불단은 은해사(銀海寺) 백흥암(百興庵)의 수미단(須彌壇)과 같은 형태로 정교하게 무늬를 새겨넣어

 관음보살상을 모시고 있다. 불단의 상부에는 보개(寶盖)를 설치하고 있다.

원통전 앞에는 좌우 양쪽에 당간지주와 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수미단(須彌壇)은 사찰의 법당 등에 설치하는 수미산(須彌山) 형상의 단. 수미산은

 불교의 우주관에서 나온 상상의 산으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한다.

 

 

 

 

 

 

 

[산령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1984.07.25 지정)
산신각이라고 하기도 한다. 산신각은 산신을 봉안한 건물로 우리나라 사찰 특유의 전각 가운데 하나로

 우리나라 불교의 토착화 과정을 짐작게 하는 좋은 증거가 된다. 산신은 원래 불교와 관계가 없는 토착신이나

 불교의 재래신앙에 대한 수용력에 의하여 사찰내에 봉안되게 되었다.

산신신앙은 우리나라 특유의 산악숭배신앙과 관련이 깊지만 조선시대 이후 차츰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러나 이 신앙은 불교 본연의 것이 아니라 하여 전(殿)이라 하지 않고 반드시 각(閣)이라는 명칭을 붙이고 있다.

 

[기영각]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1호(1984.07.25 지정)
기영각은 영조대왕을 위해 기도한다는 뜻으로 이름한 전각이다. 1696년(숙종 35) 현응조사가 성전암(성전암)과

더불어 건립하였다고 전해지며 1974년과 1983년의 두 번에 걸친 보수공사가 있었다.

건물은 화강석 바른층쌓기 기단위에 건립된 정면 3칸. 후면 2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구조양식은 덤벙초석 위에 원주를 세우고 주상에 주두와 함께 앙서와 수서를 장식한 외일출목

 주심포계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주두와 장식이 번잡하게 발달한 조선후기 공포양식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상부가구는 5량가이나 우물천장으로 가리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