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조상(직계)

[스크랩] ?제20대 도조대왕

<!-BY_DAUM->

제20대 도조대왕(度祖大王) 춘(椿)

 

19세 익조대왕의 제4남으로 이름은 춘(椿)인데 처음 이름은 선래(善來)요, 몽고명은 패안첩목아이다. 함흥(咸興) 송두등리(松頭等里)에서 탄생하여 1342년(고려 충혜왕 복위 3) 7월 24일에 승하하니 고려 조정에서 찬성사(贊成事)를 추증하였다. 1394년(태조 3) 11월 6일에 도왕(度王)으로 추존되고 후에 태종대왕이 공의성탁(恭毅聖度)이라고 존호를 올렸다. 5남 3 녀를 두었다. 능은 의릉(義陵)으로 함남 흥남시 운남면 운흥리 임좌(壬坐)에 있으며 표석(表石)이 있다.

 배위는 경순왕후(敬順王后) 박씨이니 본적은 문주(文州)요 원나라에서 천호벼슬을 받고 조선조 때 문하시중에 증직된 안변부원군(安邊府院君) 박광(朴光)의 딸이고 7월 23일에 승하하였다. 1394년(태조 3) 11월 6일에 경비(敬妃)로 추존되고 태종대왕이 경순(敬順)이라 존호를 올렸다. 5남 3녀를 낳았고 능은 순릉(純陵)으로 함남 흥남시 마전리 임좌(壬坐)에 있 다. 표석이 있다.

 사자(嗣子) 환조대왕은 차례가 둘째요, 장남 완창대군(完昌大君)은 자흥(子興)이요, 3남 완원대군(完原大君)은 자선(子宣)이며, 4남 완천대군(完川大君)은 평(平)이요, 5남 완성대군(完城大君)은 종(宗)이다.

 장녀 문혜공주(文惠公主)는 대장군 문인영(文仁永)에게 시집갔고, 차녀 문숙공주(文淑公主)는 다루카치 김마분(金馬粉)에게 시집갔으며, 삼녀 문의공주(文懿公主)는 허중(許重)에게 시집갔다.

 그런데 <태조실록>에는 경순왕후 박씨는 완창대군과 환조대왕만 낳고 박씨가 승하한 뒤 조씨(趙氏)에게서 두 아들과 세 딸을 낳으니, 첫 아들이 완자불화(完者不花)요, 다음 아들이 나해(那海)라고 하였다. 그러니 5형제 중 아들 하나는 누가 또 낳았는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선원계보>에는 5남 3녀를 모두 경순왕후 박씨가 낳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완산실록> · <동국세기> · <충효전>에는 이런 일화가 적혀 있다.
 
도조대왕이 소시적에 경산(慶山)으로 길을 가는데 어느 날 일본의 사신이 북해(北海)의 녹둔도(鹿屯島)로 들어가기 때문에 경산 길로 가다가 도중에서 도조대왕을 만났다. 일본 사신은 수레에서 내려 도조대왕께 절을 하고서 말하기를 “용의 자손이 어찌 이런 곳을 다 오셨습니까? 나으리는 비록 그때를 보시지 못하시지만 반드시 왕이 되실 손자를 낳으실 것입니다. 앞으로 요사스러운 중과 요망한 여자가 궁중에서 난을 일으킬 것입니다.”라고 하였 다. 이에 도조대왕이 우러러보며 대답하되 “저같이 이렇게 곤궁한 사람이 그런 끝없는 복을 어찌 받을 수가 있겠소이까?” 하니, 일본 사신이 말하기를 “왕후장상(王侯將相)이 어찌 씨가 있습니까?” 하고 그가 지녔던 활과 화살을 풀어 주고 가 버렸다.

출처 : bloglkh7700
글쓴이 : 삼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