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대구

대구 시티투어 향촌 문화관. 현재 향촌동(수제화)거리

 대구 향촌문화관 개관

 

20141030일에 개관

 

향촌문화관이 들어선 이 자리는 1912년 대구 최초의 일반은행인 선남상업은행이었다 고 한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공동출자로 설립되었으며 1941년에 조선상업은행으로 흡수되 었고 그 뒤 한국상업은행 대구지점으로 영업을 해 오다가 2014년 대구의 원 도심을 소중 히 지켜나가기 위한 방편으로 대구시와 중구청의 각각 80억 원의 출자로 매입하고 리모 델링을 거쳐 전시문화공간으로 중앙로에 거듭나게 되었다고 한다.

 

본 건물의 지하층은 녹향음악감상실과 사무실과 수장고로 활용을 하고 1층과 2층은 향촌문화관으로 3층과 4층은 대구문학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녹향(음악감상실)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음악 감상실로서 1946년 이창수 선 생이 SP레코드판 500여장과 축음기 1대로 향촌동 자택 지하에 문을 열면서 시작되었다.

625전쟁 때는 대구에 내려온 예술인들의 사랑방이었으며 양명문시인의 명태도 이곳에서 탄생되었다. 고전음악을 찾는 발길이 줄어들면서 극심한 경영난을 겪게 되었 으나 대구원로음악가회의 녹향 창립 50주년 기념 음악회 등 예술가들의 노력으로 지금은 3남인 이정춘 씨가 선친의 뜻을 이어 녹향을 지키고 있다.

권 원순 교수의 노력도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녹향의 매일 음악 프로그램은 오전에는 영화음악과 팝송이고, 12:00~ 14:00까지는 성악, 합창. 14:00~16:00 교향곡, 오페라 전곡. 16:00~18:00 협주곡, 오페라 전곡을 감 상. , 요일 프로그램은 영화음악, 고전음악 등으로 고객을 맞이하고 있다.

 

향촌 문화관 일층에는 향촌을 걸으며 근대 대구 최고의 상업지 중앙통은 대구정거장 앞 에서 동성로 3가까지를 남북으로 잇는 1.05km의 도로로 191731일 준공되었고, 이 길은 196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공보원, 한국은행 대구지점 등 각 종 금융기관, 빵집, 서 점, 다방, 금은방, 양복점들이 즐비한 대구의 관문이자 영남 상업의 중심 거리였다. 모형 과 영상물을 통해 당시 상가의 모습들을 약간이나마 볼 수 있다.

산업의 기반 북성로는 대구읍성의 북쪽 성벽을 허문 자리에 만든 신작로이며, 일제 강점 기 대구에서 가장 번화한 상업 중심지로 대구 최초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미나까이 백화점본점이 있었다. 광복 후 미군부대에서 나오는 깡통이나 드럼통을 받아 수도관이나 리어카 바퀴 등을 만드는 철물업자들이 생겨났고, 625전쟁 후 본격적인 공구거리로 바뀌었단다.

전국을 잇는 교통 중심 대구역, 피난민의 삶터 교동시장은 815광복을 맞아 귀국한 동 포들에 의해 난민촌이 형성되었고, 625전쟁 직후 피난민들이 몰려들어 미군 PX에서 흘 러 나오는 구제품과 화장품 등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1980년대까지 호황을 누렸다.

 

 

 

 

 

 

 

 

 

 

 

 

 

 

 

 

 

 

 

 

 

 

▼ 향촌동 수제화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