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국내)/경북 (12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의성 사촌마을, 향나무, 의병 전시관, 가로숲, 의성역 의성 사촌리 향나무이 향나무의 수령은 약 500년에 이르며, 높이 8m 수관폭 2.5m이다. 조선조 연산시대(燕山時代) 학덕을 겸비한 송은(松隱) 김광수(金光粹)(1468~1563)선생이 심었으며 스스로 이를 만년송(萬年松)이라 하였다. 비록 한그루의 나무이지만 선조들의 식수관과 자연 애호사상을 본받을 수 있는 현장학습자료의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뜰에 심어온 정원수 식재의 흐름과 향나무 생태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의성 의병기념관 김억 사무국장님2016년 개관 들불처럼 일어선 의성의병들은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스스로 일어선 의병들로 자기들의 힘을 합쳐 나라를 지키고자 하는 마음 하나로 목숨을 희생해 이 나라를 지키고 이 마을을 지켜내었습니다. 의성의진 이라 불리는 62일간의 항.. 의성사촌마을, 전시관, 만취당(류성룡생가), 후산정사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전통 마을. [명칭 유래] 사촌 마을은 고려 후기 출장입상(出將入相)의 훈신(勳臣) 충렬공(忠烈公) 김방경(金方慶)[1212~1300]의 5세손인 감목공(監牧公) 김자첨(金子瞻)이 안동(安東) 회곡(檜谷)에서 1392년에 입향하였고,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본따 사촌(沙村)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사촌 마을은 1392년 이곳으로 입향한 김자첨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 후 1750년 무렵 병촌(屛村) 유태춘[류태춘](柳泰春)이 이곳에 이주하여 수백 년 동안 안동 김씨(安東 金氏)와 풍산 유씨(豊山 柳氏) 등이 세거한 반촌 마을이며 1896년 의병을 주도한 마을이기도 하다. [자연환경] 사촌 마을은 풍수상의 명당으로 마을 뒷산으로는 문필봉이 버티고 있고,.. KBS 인간극장 방영 황사장 청도 복숭아 KBS인간극장방영 황무석사장 청도복숭아 개미와베짱이 5부작 2019년 8/19~8/23 남은 인생 두분 건강하게 오래오래 행복하세요 영주 무섬마을 외나무다리 영주 무섬마을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文殊面) 수도리(水島里)에 있는 전통마을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을 뜻하는 '수도리(水島里)'의 우리말 원래 이름이다.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乃城川)이 동쪽 일부를 제외한 3면을 휘돌아 흐르고, 내 안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는 모래톱 위에.. 영주 삼판서 고택 정도전 생가 제민루 영주 삼판서 고택 정도전 생가 영주의 선비정신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고택. 세 명의 판서를 비롯하여 수많은 인재를 배출한 삼판서고택은,영주시 가흥1동 서천변 구학공원에 위치하고 있으며,원래 구성산 남쪽 기슭에 터를 잡은 후 수 백년을 세거하면서 세 명의 판서를 비롯하여 수많은 인물을 배출하여 삼판서고택으로 명명되면서 명문가로 자리 잡았으며, 1961년 영주 대홍수 때 수해를 당한 후 면 년 뒤에 철거되었으나 2008년 지역주민이 뜻을 모아 현 위치에 복원하였습니다.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세 분의 판서가 연이어 살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인 영주의 삼판서고택입니다. 한가한 가운데 여유로움과 아름다움이 서려 있었습니다. 삼판서고택의 세 주인은, 첫 주인 염의 정운경은 고려 때 형부상서를 지냈으며, 조선 개국공신.. 봉화 청량산 청량사 선학정 하산길 안심당 다원 봉화 청량산 청량사 선학정 하산길 봉화 청량산 원효대사구도의길 청량사 전경 청량산 청량사 663년(신라 문무왕 3년) 원효대사가 창건했으며, 청량산 도립공원 내 연화봉 기슭 열두 암봉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 암봉에는 소나무와 각종 활엽수가 울창하며, 청량사 바로 뒤에는 청량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보살봉이 있다. 공부하던 김생굴과 공민왕당, 퇴계 이황이 즐.. 봉화 청랑산 선학정800미터 입석1.3km 청량사등산로 청량사 입구 청량지문 봉화 청랑산 선학정800미터입석1.3km 청량사등산로 이전 1 2 3 4 5 6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