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뿌리/북치등 종중

[스크랩] 제31세 상형(尙馨)

제31세 천묵제(天默齊) 상형(尙馨)

 

욱공의 제2자로서 서기1585(선조18)을유(乙酉)년 4월 12일 출생하였고 서기1645(인조23)을유(乙酉)년 4월4일 61세로 졸함

묘소 : 임실군 운암면 운종리 종산(鍾山) 묘좌(卯坐)

 

배위 : 정부인 선산임씨(善山林氏) 서기1586(선조19)병술(丙戌)년 5월1일 출생 신미(辛未)년 7월4일 졸(수46세) 생5남

묘소 : 공묘(公墓)와 합봉

 

배위 : 정부인 남원윤씨(南原尹氏) 임술(壬戌)3월 6일 졸 생1남

묘소 : 임실군 삼계면 산수리 호창산(呼昌山) 발인동(發仁洞) 병좌(丙坐)

 

 

 

 

 

 

원문 국역문 

    황조   배신   홍문교리   전주 이공    상형 묘 표

 

선생의 휘는 상형이시고 자는 덕선(德先), 호는 천묵제(天默齊)

효령대군 휘 보의 7대손으로 만력 을유(선조18년 1585년)년에  태어나시어 여덟살때 임진왜란을 피하여 안동으로 피난했는데 여기서 중국사람이 공을 보고 기이하다 동방에 큰 인물이 나왔다고 하였다.

임자(광해4년,1612)년에 사마시에 급제하고 같이 급제한 동료와 함께 상소를 올려 인목대비의 유폐를 항의하였으나 대답이 없으니 드디어 과업을 폐하고 여러사람과 더불어 호산을 방랑하니 스스로 칠광이라 불렀다.후에 사람들이 그 자취를 좇아 행하려 하였다.

인조 갑자(2년 1624년)에 문과에 급제하고 사계 김장생선생의 문하에서 빨리 배워서 깨우치는것이 반드시 선생이 제일이라 하였다, 계곡 장유 우복 정경세와 같이 경학에 밝다고 천거하였고 임금께서는 경연의 강론에 참석하라하여 물으셨다.

 

정묘(인조5년,1627년)년 호란에 격문을 보내어 의병을 일으켰고 병자년 겨울에 홍문관 부수찬으로써 임금을 모시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독전어사에 임명되어 주야로 성을 순찰하는데 화살이 앞에 떨어지니 누가 조금 피하라고 하니 선생께서 꾸짖어 말하되 위험에 당하여 구차하게 면하려하는것은 신하의 도리가 아니라하였다.

 

난리가 끝나자 먼저 강화도의 세 장수를 다스리기를 청하고 또한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알릴것을 상소하였으나 말씀이 없었고 일찍이 묘당에서 만나 최정승(최명길)이 당시 급한일이 무엇이냐 물으니 선생은 즉시 척화신은 이미 청나라에 묶여 보내졌으니 강화신도 당연히 명나라에 박송해야할것이 급선무라하였다.최정승은 바로 해직되었고 공은 고향에 돌아왔다. 여러번 벼슬을 내려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임종의 자손들을 경계하는 말씀이 없으셨다. 병자년 이후에 관직을 쓰지 말라고 하셨다. 동춘 송준길 선생께서 비문의 제목을 쓰시고 신독재 김집 선생께서 그 음기를 지었고 도암 이재선생께서 지석을 기록하시고 한수재 권상하 선생께서 문집의 서문을 지으셨다. 영조 병자(32년 1576년)년에 병자호란 척화신을 특별히 포상을 시행하니 특별한 은전으로 홍문관 부제학에 증직되셨고 또한 관원을 보내 묘전에 제사를 드렸고 철종 을묘(6년 1855년)년에 시호를 내리셨다. 

 

오호라! 선생의 실적은 여러 선정께서 찬양하여 갖추어  실려져있으니 감히 더하여 기술할 수 없고 조정에서 전후하여 높히 보훈하였슴을 약기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알게하고자 함이다. 

승정기원후 5경(고종7년 1870)삼월

칠대손 통정대부 돈영부 도정 회풍 삼가 짓고

구대손 윤이 삼가 쓰다.

 

 

(디지털한국학에서 퍼온 자료입니다.)

이상형(李尙馨)

시대 조선

생몰년 1585-1645(선조18-인조23)

본관 전주(全州)

자 덕선(德善)

호 천묵재(天默齋)

시호 충경(忠景)

활동분야 문신

1585(선조 18)∼1645(인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덕선(德善), 호는 천묵재(天默齋). 효령대군(孝寧大君)의 7대손으로, 욱(昱)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임대영(任大英)의 딸이다.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1612년(광해군 4)사마시를 거쳐, 1625년(인조 3)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성균관에 들어가 1628년 학록(學錄)에 오르고, 곧 가주서(假注書)로 경연관이 되고 시강원설서(侍講院說書)·사서를 역임하고 예조좌랑이 되었다.

1630년 사간원정언에 제수되었다가 전적으로 전직하고 이어 병조좌랑·정랑을 거쳐, 사헌부지평으로 전직되고, 문학(文學)으로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을 겸하고 또 직강을 역임한 뒤, 다시 정언으로 지제교(知製敎)를 겸하였다. 다음해 옥과현감으로 나갔다가 홍문관부수찬이 되었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척화를 주장, 화의를 건의하는 최명길(崔鳴吉) 등을 탄핵하였다.

1638년 교리·장령 등을 제수받았으나, 병으로 나아가지 않았다.

경서에 정통하였고 음양·지리에도 밝았으며, 특히 역학에 뛰어났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남원의 요계서원(蓼溪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저서로는 《천묵재유고》가 있다. 시호는 충경(忠景)이다.

 

 

 

 

 

 

출처 : bloglkh7700
글쓴이 : 삼봉 원글보기
메모 :

'뿌리 > 북치등 종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제33세 성연(聖淵)  (0) 2013.10.23
[스크랩] 제32세 문중(文中)  (0) 2013.10.23
[스크랩] 제30세 욱(昱)  (0) 2013.10.23
[스크랩] 제29세 경윤(慶胤)  (0) 2013.10.23
[스크랩] 제28세 혼(渾)  (0) 201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