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국내)/수도권

(97)
서울 성북동 한양 도성 북정 마을 매일 짓고 없어지고 변하는 도시. 가끔 변하지 않는 것을 찾고 싶을 때가 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성북로. 이곳 골목은 아직 변하지 않고 남아있는 것들이 많다. 구인회에 참여했고 단편소설 '까마귀' '달밤'등을 낸 소설가 상허 이태준. 1930년대 성북동의 '수연산방'에 살았던 그는 성북로를 자주 산책했다고 한다. 그의 수필 '성(成)'에 보면 그는 퇴근 후 바로 자택인 수연산방으로 가지 않고 한양도성 암문으로 들어가 북정마을을 산책했다. 이어 한용운의 마지막 집이있던 심우장(尋牛莊)을 지나 집으로 둘러갔다. 그가 산책했던 동네엔 고스란히 옛 것들이 남아있다. 김영철의 동네한바퀴에서 소개한 비둘기 책방 서울성북동 한양도성 북정마을 심우장 밖 담장에 북정마을 안보구가면 천상 후회한다고 써 놓았다.올..
서울 성북동 만해 한용운 심우장 1985년 7월 5일 서울특별시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가, 2019년 4월 8일 사적 550호로 승격하여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만해(萬海) 한용운(1879~1944)이 지은 집으로 남향을 선호하는 한옥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북향집인데 독립운동가였던 그가 남향으로 터를 잡으면 조선총독부와 마주보게 되므로 이를 거부하고 반대편 산비탈의 북향터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제에 저항하는 삶을 일관했던 한용운은 끝내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44년 이곳에서 생애를 마쳤다. 심우장(尋牛莊)이란 명칭은 선종(禪宗)의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한 열 가지 수행 단계중 하나인 ‘자기의 본성인 소를 찾는다’는 심우(尋牛)에서 유래한 것이다. 왼쪽에 걸린 현판..
서울 성북동 상허 이태준 가옥 수연 산방 소설가 이태준이 1933년 부터 1946년까지 머물면서 , , 등의 작품을 집필한 곳으로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다. 서울특별시 성북구의 대표적인 명소로 1977년 서울시민속자료 제1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이태준 선생의 외종손녀가 당호인 수연산방(壽硯山房)이라는 이름으로 전통찻집을 운영하고 있다. 이 집은 1933년에 지어진 개량한옥으로 대지 약 120평, 건평 약 23.2평이다. 서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별채 없이 사랑채와 안채를 결합한 본채로만 이루어져 있다. 일각대문(一角大門)을 들어서면 바로 장독대가 보이고 좌측에는 야외 테이블, 오두막이 있고, 우측에는 본채가 있다. 본채 앞 작은 마당에는 우물이 있다. 본채는 전면부는 팔작지붕이고 후면부는 맞배지붕이며, ㄱ자형 구조이다. 중앙 2간을 대청..
서울 성북동 고고 미술 학자 혜곡 최순우 옛집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2동에 있는 고고미술학자이자 미술평론가였던 혜곡(兮谷) 최순우(1916~1984)가 살았던 옛집이다. 2006년 9월 19일 등록문화재 제268호로 지정되었다. (재)내셔널트러스트문화유산기금에서 소유, 관리한다. 1930년대에 지은 전통 한옥으로 전형적인 경기지방 한옥 양식이다. 'ㄱ자형' 본채와 'ㄴ자형' 사랑채, 행랑채가 마주 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ㅁ자형' 구조를 이룬다. 가운데에는 중정이 있고 중정 옆에는 작은 우물이 남아 있다.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으로 한국미의 발견에 힘쓴 최순우가 1976년부터 1984년 사망하기까지 살았던 주택으로, 밀리언셀러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등을 집필한 곳이다. 성북동 한옥의 양옥화 추세로 허물어질 위기에 처한 것을 시민운동단체인 한국..
서울 롯데 월드 타워 불꽃 쇼 동영상
인천 백령도 여행 둘 복지관 탁구장 친구를 이곳에서 만냈다 콩돌해변 청주 고향분을 만내 막걸리 1잔했다. 대구 친구도..가자미회와 굴 홍합요리 사곶 해변 천연비행장 백령도 실내 체육관 백령도 여객선 터미날 인천백령도여행둘
인천 백령도 여행 하나 해당화옹진군의 꽃 섬마을 선생님의 노래에도 나오는... 수도없이 곳곳에 많이 피어있다 용트림 바위 갈매기수도없이 너무 많다 인천백령도여행 하나
인천 백령도 차량 여행 백령 우체국 1985년 형이 이곳에서 1년 넘게 근무한곳이다 당시 한국통신 백령사업소장(현 KT) (당시 자석식 교환기 교환양이 북한말을 해서 좀 놀라웠다) 고기를 잡는 통발 사자바위 이구아나 바위라고도 한단다 철책선 안으로 갈매기가 수없이 많다 철책선 안으로 지뢰 매설 표시가 보인다 논이 진짜 많다 벼농사를 지어 주민 5천명 군인 5천명이 1년농사지어 3년은 족히 먹는다한다 남는건 벼로 판다한다 수로가 시원스레 보인다 물도 많고... 논에는 곳곳이 지하수가 파져서 물을 댄다한다 염전은 수지가 안맞아 하지를 않아서 노는 땅이 너무 많다한다 염전 경로당 경로당 지하에는 대피시설이 잘되어있고 냉난방시설부터 생활할수있는 모든것이 다 갖추어져 있다한다 가운데 울타리시설이된 소나무가 420년 되었다한다 화력발전소..